W1D4
1. 팔도감의 시장분석을 통한 제품전략 수립
2022.12.14 - [PMB]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1D3 ) 선정한 프로덕트의 Why, What, Where, When, How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1D3 ) 선정한 프로덕트의 Why, What, Where, When, How
W1D3 1. 라포랩스의 새로운 도전 '팔도감' 처음 라포랩스를 알게 된 것은 '퀸잇' 이라는 서비스의 폭발적인 성장세 때문이었다. 퀸잇은 "왜 지금까지 1300만명의 X세대 (40, 50대)를 위한 서비스가 없
pmjsb.tistory.com
어제 라포테이블의 '팔도감'을 'Why, What, Where, When, How' 항목 별로 분석하여 서비스의 출시배경과 활용 상태 등을 알아 볼 수 있었다. 오늘은 팔도감이 속해 있는 시장에 대하여 분석해보고, 그에 따른 제품 전략 수립 등을 위한 조사를 해보고자 한다.
- 식품커머스 시장의 규모
어제의 글에서 얘기했듯이 팔도감이 속해있는 식품커머스 시장은 이미 수많은 기업들이 경쟁하며 각축전을 벌이는 '레드오션'이라고 할 수 있다. 2022년 2월 작성된 '온라인 식료품 구매 트렌드 리포트 2022'에 따르면, 2021년 한 해 식품의 온라인 거래액이 32조 8천억 규모에 달했다고 한다. 이는 최근 3년 사이에 2.5배 증가한 수치이며, 그 만큼 식품커머스 시장의 규모가 빠르게 거대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의 81.5%는 월 평균 5.02회 가량 온라인에서 식료품을 구매하고 그 중 쿠팡, 마켓컬리, 네이버쇼핑, 이마트몰 등이 주요 구매 채널로 보여진다.
- 팔도감의 경쟁상대, 그리고 대안재?
팔도감이 시장에 등장하면서 내세운 주요한 키워드는 'x세대를 타겟으로 한 고품질의 신선식품', '신선식품의 직거래 채널' 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팔도감의 경쟁상대 역시도 이와 비슷한 카테고리에서 강점을 드러내고 있는 플랫폼일 것이다. '온라인 식료품 구매 트렌드 리포트 2022'에 따르면 직거래를 통한 농/축/수산물 구매 채널에서 '네이버쇼핑'이 40.1%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팔도감의 가장 큰 경쟁상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어제의 분석에서도 팔도감 팀이 신선식품의 직거래채널의 부재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시작했듯이, 팔도감이 출시하기 직전의 자료인 이 리포트에서도 네이버 쇼핑을 제외한 이렇다할 직거래 플랫폼이 전무하다고 보여진다. 지인을 통한 구매, 중고마켓을 통한 직거래, 밴드, 카페, 오픈채팅방 등 다 정기적인 구매가 어렵고, 소수의 네트워크에 의한 거래가 이뤄지고 있었다는 뜻이다. 팔도감 자체가 이러한 방식들의 보완하기 위해 시장에 출시되었고 그 니즈를 충족시키며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팔도감의 대안재는 어떠한 플랫폼이 아닌 소수의 네트워크로 인해 이뤄지는 소규모의 직거래 시스템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경쟁상대 대비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 아이디어
팔도감은 식품커머스라는 '레드오션' 속에서 농축수산물과 같은 신선식품 직거래라는 '블루오션'을 공략하는 '퍼플오션'전략을 통해 단기간에 빠른 성장을 거두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경쟁 상대 대비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 아이디어는 여전히 필요할 것이다.
'온라인 식료품 구매 트렌드 리포트 2022' 의 위 자료와 같이 팔도감이 등장하기 이전 농축수산물의 직거래 인식 대비 실제로 구매를 경험한 비율은 상당히 적다. 이는 위에 분석한 것 처럼 적당한 플랫폼이 없던 것이 큰 이유일 것이고, 팔도감의 등장은 그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등장했다. 그렇기에 '더 많은 홍보와 광고'를 통해 팔도감의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가 윈윈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해 알린다면, 이는 직거래의 장점과 방법에 대해 미리 인식 하고 있지만 플랫폼이 없어 이용하지 못하던 구매자와 생산자들을 팔도감으로 끌어올 수 있고, 그것은 곧 플랫폼이 마땅히 정비되지 않은 경쟁상대 대비 우위를 점하는 전략이 될 것이다. 특히 X세대들을 타겟으로 한 만큼 X세대가 시청하는 비율이 많은 TV, 유튜브 등의 채널을 이용하여 협찬 식으로 광고를 진행한다면 더욱 효과적일거라 생각한다.
또한, 팔도감 실무자의 인터뷰 내용 처럼 X세대들은 신선식품의 품질에 상당히 신경을 쓴다. 하지만 온라인 거래의 특성상 구매자가 직접 보고 품질을 확인할 수가 없다. 물론 여타 다른 식품커머스 플랫폼처럼 후기나 별점제도도 있고, 그리고 팔도감에는 '팔도감 보장제도'라고 하는 팔도감만의 평가를 거쳐 통과한 상품만 판매하는 품질 보장 제도가 이미 있다. 그러한 보장 제도를 더 업그레이드 시켜서 단순히 합불이 아닌 자체적인 평가 기준에 의하여 '품질 등급을 정해주는 시스템'이 있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그 전략으로 인해 등급이 높을 수록 상위 노출, 수수료 등에 혜택을 주어 생산자는 더욱 품질 상승에 대한 열정을 가지게 만들고, 소비자들 또한 더욱 품질이 보장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팔도감은 더욱 더 시장 경쟁력을 얻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 전략으로는 '안정된 전국 생산, 배송망의 구축'이 있어야 할 것이다.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배송의 속도를 강점으로 내세운 다른 식품커머스 플랫폼들의 단점으로 꼽히는 점은 배송 시스템의 혜택을 볼 수 있는 곳이 수도권 혹은 그 근교 정도로 한정이 된다는 점이다. 물론 팔도감의 경우 X세대가 배송의 속도 보다는 품질에 더 큰 메리트를 느낀다는 점을 강점으로 세우고 있고, 직거래를 이용한 시스템을 구축해놓았기 때문에 그 지적에서는 좀 자유로울 수 있다. 하지만 그렇기에 팔도감이 더욱 안정적인 전국적 생산망을 보유해서 구매자가 주문하고자 하는 지역에 맞춰 조금 더 빠르게 배송 받을 수 있는 신선 식품 추천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이는 확실한 메리트를 갖추게 될 것이다.
- 반드시 도입되어야 할 전략 아이디어
제시한 3가지 전략 중 '품질 등급을 정해주는 시스템'은 반드시 도입되어야 하고 ,팔도감 팀 내에서 이미 보유 중인 보장제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온라인 식료품 구매 트렌드 리포트 2022'의 두 자료를 보면 구매자들은 온라인 식품 구매 시 신선식품의 구매를 가장 망설이고, 그 가장 큰 원인으로 품질에 대한 신뢰의 문제가 있다고 보여진다. 이는 팔도감의 주고객층인 40, 50대에서도 마찬가지인 부분이다. 결국 팔도감이 신선식품 직거래라는 '퍼플오션'에서 더욱 더 강력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선 품질에 대한 신뢰를 더욱 올려야 하고, 그렇기에 자체적인 '품질 등급 시스템의 발전'을 팔도감의 '핵심 전략'으로 세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2. 마치며
과제를 진행하면서 가장 크게 느낀 점이 있다면, '팔도감'이라는 플랫폼은 라포테이블에서 정말 철저한 시장 분석과 만반의 준비를 하고 출시한 프로덕트라는 점이다. 그들은 확실한 '퍼플오션'을 보고 그에 맞춰 지금까지도 꾸준히 성장을 이루고 있기에, 특히 내가 그들의 입장이 되어 경쟁상대 대비 우위를 가지는 전략 아이디어를 뽑는 점에 있어서는 이미 자체적으로 진행 중이거나 더 나은 점들이 있어 꽤 어려움을 겪었던거 같다. 이렇게 잘 준비되고 출시된 서비스가 앞으로도 확실한 전략들을 가지고 더욱 승승장구하길 바라며 글을 마무리 하겠다.
[참고문헌]
온라인 식료품 구매 트렌드 리포트 2022 (2022년 12월 15일) https://blog.opensurvey.co.kr/trendreport/online-grocery-2022/
온라인 식료품 구매 트렌드 리포트 2022 - 오픈서베이 블로그
온라인 식료품 구매 트렌드 리포트 2022은 온라인 식료품 구매 현황, 쿠팡·마켓컬리·이마트몰· 네이버쇼핑 등 주요 채널 이용 행태, 간편식·밀키트 온라인 침투율, 퀵커머스 채널인 배민 B마트
blog.opensurvey.co.kr
'PMB da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JTBD (나의 삶에 제일 많은 영향을 끼치는 서비스, 쏘카) / 코드스테이츠 PBM 16기 W2D2 (0) | 2022.12.20 |
---|---|
Design Thinking 프로세스 (페르소나 중심 솔루션 제안, 오비스)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2D1 (1) | 2022.12.19 |
팔도감의 Why, What, Where, When, How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1D3 (1) | 2022.12.14 |
PD Life Cycle에 의거한 프로덕트 분석 (그린랩스, 팜모닝)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1D2 (2) | 2022.12.13 |
Product Manager란 무엇인가 & PM의 업무 역량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1D1 (1) | 2022.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