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1D2
1. 그린랩스의 PD Life Cycle 분석
PD Life Cycle, 제품 생애 주기는 모든 프로덕트가 거치는 '기회포착 및 계획 - 솔루션 디자인 - 솔루션 구축 - 솔루션 공유 - 솔루션 평가' 의 5가지의 단계를 말한다. 오늘은 이를 통하여 대한민국 대표 에그테크(농업 IT) 기업, 그린랩스의 대표 종합농업플랫폼 서비스 팜모닝에 대해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 기회포착 및 계획 : 회사가 발견한 가장 큰 기회는 무엇이었나요?
그린랩스의 메인 홈페이지에도 나와 있듯이 그들은 농업인들이 겪는 고충에 집중하였다. 세상이 빠르게 디지털화 되어가고 있었지만, 농업이라는 분야가 아직까지 디지털 불모지라는걸 빠르게 파악한 그린랩스는 디지털 전환을 시작으로 말그대로 농업의 혁신을 이끌고 있다. "우리는 무조건 농민과 함께 갈 거다. 실제로 회사에서 무언가를 만들거나 결정할 때 농민들이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는 방향이 무엇일지를 먼저 생각한다." 신상훈 그린랩스 대표의 인터뷰 내용 중 하나이다. 이 기업과 팜모닝이라는 서비스가 어떠한 생각부터 시작이 됐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
- 솔루션 디자인 : 회사는 어떻게 문제를 정의했고,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고 있나요?
농업인들이 겪는 고충에서 시작한 그린랩스는 농업에서의 생산성과 노동력 문제에 집중하기 시작했고, '계획 - 재배 - 유통 - 금융' 등 농사의 생애주기 전 단계를 아우를 수 있는 원스톱 시스템 구축을 통해 생산성의 향상과 노동력 절감을 꽤하고자 했고, 그러한 니즈에서 그린랩스의 대표 종합농업플랫폼 '팜모닝'이 시작됐다.
- 솔루션 구축 : 회사는 정의된 문제와 해결책을 어떻게 구축했나요?
팜모닝은 농업인들이 농사의 준비부터 판매에 이르기 까지의 전 과정을 이 어플 하나로 다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했다.
"플랫폼에 농업 관련 데이터가 기하급수적으로 쌓인다. 팜모닝은 누적된 데이터를 활용해 재배하는 작물이 날씨, 계절, 비료에 따라 어떻게 수확량이 달라지는지, 병해충 발생 가능성은 얼마나 되고 방제법은 무엇인지 등 농업 관련 전문 정보를 제공한다. 또 전국의 실시간 도매·소매 가격을 제공하는데, 농민들이 현재 어떤 시장에 판매하면 이익을 가장 많이 낼 수 있는지와 같은 판매 데이터를 알 수 있다."
라는 신상훈 대표의 말 처럼 팜모닝은 농업의 모든 분야에 관한 데이터를 농업인들 스스로가 사용하면서 누적시키고, 또 그 데이터를 가공하여 제공하고, 그걸 보기 위해 다른 사용자들이 모이는 '유기적인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팜모닝이 농민들의 '구글', '네이버'로 불리는 이유일 것이다.
- 솔루션 공유 (마케팅) : 회사는 만들어진 제품을 고객들과 시장에 어떻게 알리고 있나요?
그린랩스는 우선적으로 팜모닝의 어플 안에 '사랑방'이라 불리는 커뮤니티를 만들어 농업인들의 서로의 지식을 나눌 수 있도록 하였고, 농업 관련 지식을 찾고자 했던 여러 사람들이 저절로 그 커뮤니티에 모이기 시작해 자연스럽게 서비스의 홍보효과를 가졌다. 또한 농업인들이 놓치기 쉬운 정부 및 지자체 보조금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해 정보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농업인들에게 간편한 방법으로 신청 및 수령 방법을 알려주었으며, 농업관련 기관, 기업과 대대적인 업무협약을 맺으면서 협력 네트워크 체인망 또한 무서운 속도로 넓혀 나갔다. '플랫폼을 만들고, 커뮤니티를 구축해 대대적인 네트워크 망을 기반으로 한 농업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농업인이라면 당연히 사용할 수 밖에 없게 만드는 그린랩스만의 효과적인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 솔루션 평가 : 회사는 솔루션에 대해 어떻게 성공/실패를 판단하고 개선해 나가고 있나요?
그린랩스는 팜모닝 어플 출시 2주년을 맞아 고객 만족도 조사를 실시했으며, 청년정책 박람회에도 참여하는 등 농업과 서비스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들을 수 있도록 피드백 과정을 밟고 있다. 또한 국내 농업 환경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에 힘입어 사전 시장 결과조사를 바탕으로 일본 시장에도 진출했으며, 아시아 그리고 글로벌 한 시장을 향해 꾸준히 나아가고 있는 중이다.
2. 마치며.
아직 많은 지식을 쌓지 못하고 부족한 상태로 좋아하는 기업의 서비스인 그린랩스의 팜모닝에 대해 PD Life Cycle분석을 해보았다. '그린랩스는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인류의 먹는 것을 혁신합니다.' 그린랩스의 홈페이지 메인에 자리잡은 이 말 처럼 글로벌 시장에서도 꾸준한 혁신을 보여주기를 바라면서 글을 마치겠다.
[참고문헌]
그린랩스 (2022년 12월 13일) https://greenlabs.co.kr/
그린랩스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인류의 먹는 것을 혁신합니다. Global No.1 Agtech Company
greenlabs.co.kr
박진호가 만난 TREND LEADING COMPANIES(1) 신상훈 그린랩스 대표 (2022년 12월 13일) http://jmagazine.joins.com/forbes/view/335138
박진호가 만난 TREND LEADING COMPANIES(1) 신상훈 그린랩스 대표
국내 최초 농업분야 유니콘 입성 앞둔 애그테크 스타트업
jmagazine.joins.com
'PMB da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JTBD (나의 삶에 제일 많은 영향을 끼치는 서비스, 쏘카) / 코드스테이츠 PBM 16기 W2D2 (0) | 2022.12.20 |
---|---|
Design Thinking 프로세스 (페르소나 중심 솔루션 제안, 오비스)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2D1 (1) | 2022.12.19 |
시장 분석을 통한 제품 전략 수립 (팔도감)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1D4 (4) | 2022.12.15 |
팔도감의 Why, What, Where, When, How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1D3 (1) | 2022.12.14 |
Product Manager란 무엇인가 & PM의 업무 역량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1D1 (1) | 2022.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