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1D1
1. 일하고 싶은 곳의 PM 채용 공고를 찾아 3개 이상 분석하여, Product Manager 가 하는 일을 정의.
- 야나두
https://www.wanted.co.kr/wd/127831
[야나두] [야나두(에듀)] 서비스 개발PM 채용 | 원티드
야나두에 지원하고 합격하면 보상금 50만원
www.wanted.co.kr
기업이름 : 야나두
채용직무명 : 서비스 개발 PM
업무 :
• 야나두 프로젝트 개발 일정 관리
• 개발 로드맵 수립 및 프로젝트 실행 후 피드백까지 지속 가능한 개발 사이클 운영
• 사업, 기획, 디자인, CRM팀 등의 유관부서 협업을 통한 기능 개발요구사항 정의 및 품질 리딩
• 사내 프로젝트/프로덕트 매니징
자격요건 :
• 최소 5년 이상의 프로젝트 관리/런칭 경험을 보유하신 분
• 프론트, 백엔드 개발에 대한 기본 지식을 보유한 분
• 웹/모바일 개발 프로젝트 수행 경험이 있으신 분
•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목표한 결과를 이끌어낸 경험을 보유하신 분
• Jira, Confluence 헙업 툴 활용에 능숙하신 분
우대사항 :
• AWS 활용 / MSA 구현 기술에 관심이 많으신 분
• 새로운 기술에 관심이 많고 도입에 적극적이신 분
- 무신사
https://www.wanted.co.kr/wd/123173
[무신사] Product Manager (스타일콘텐츠프로덕트팀) 채용 | 원티드
무신사에 지원하고 합격하면 보상금 50만원
www.wanted.co.kr
기업 이름 : 무신사
채용직무명 : Product Manager (스타일콘텐츠프로덕트팀)
업무 :
• 무신사 콘텐츠 서비스 영역에 대한 Product의 오너십을 갖고 Business Impact 와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제품 기획 및 방향성 리딩
• 디자이너, 개발자, QA, 유관부서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업하여 Business 목표 달성을 위한 최선의 의사결정 및 Product 개발을 위한 과정 주도
• Product Key Metric 설정 및 지표 관리
• 동영상 포맷이나 여러 콘텐츠 생산 환경에 대한 문제 발견 및 개선 방안 도출
• 스타일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오퍼링 하고 상품상세 진입 등을 위한 아이데이션 및 프로덕트 기획, 운영
• 후기 관련 모니터링 등의 운영영역에서 프로세스와 기능 개선
자격요건 :
• 5년 이상의 Product Manager 유사 역할 경험 (Product Owner, 서비스 기획 등)
• Product 런칭부터 운영까지 전체 프로세스에 대한 경험 (목표수립, 가설 설정, 상세 기획, 런칭 후 효과 측정, 운영 등)
•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에 대한 이해와 경험
• 빠르게 움직이는 문화에서 논리적, 분석적인 사고 및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바탕으로 리딩해 나갈 수 있는 능력
우대사항 :
• Short Term Sprint 기반의 Agile 환경에서의 실무 경험
• 다양한 Stakeholder들과 Product 배포 경험
• Data Analytics 관련 기술 및 경험 보유 (SQL, BigQuery, David, Tableau, GA/GTM, DataStudio, etc.)
• Jira/Confluence 운영 및 활용 경험
• 콘텐츠 (영상/만화/음악 등 관계형 DB와 CMS 에 대한 기획, 운영경험)에 대한 Product 기획 경험
• 이커머스 프론트/관리자/운영자 Product 기획 경험
- 자비스앤빌런즈(삼쩜삼)
(주)자비스앤빌런즈 채용공고 - 프로덕트 매니저, 서울 채용, 3.5 기업 만족도, 24개 기업리뷰 | 잡
직원들이 인정한 (주)자비스앤빌런즈의 프로덕트 매니저 정규직 채용공고입니다. 5년 경력, 서비스 기획 직무에 기획,UX,UI,웹기획,pm,Javascript,HTML,CSS 스킬을 갖춘 지원자를 찾습니다. 채용시 마감
www.jobplanet.co.kr
기업이름 : 자비스앤빌런즈 (삼쩜삼)
채용직무명 : 프로덕트매니저
업무 :
• 문제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함께 문제 해결하는 과정을 리딩하여 개선 방안을 도출합니다.
• 삼쩜삼 서비스를 기획하고, 프로젝트를 리딩합니다.
• 설문조사, 인터뷰 등의 고객 피드백을 정리 및 공유하고 인사이트를 도출합니다.
• 서비스/마케팅 성과 지표 및 집계에 필요한 데이터를 설계하고, 분석하여 의사결정에 반영합니다.
자격요건 :
• 5년 이상 PM을 경험하시거나 5년 이상 서비스 기획을 경험하신 분을 찾습니다.
• 서비스 Flow 정의 및 UI/UX기획, 와이어프레임 작성이 가능하신 분을 찾습니다.
• 고객 중심, 데이터 중심의 사고를 바탕으로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추신 분을 찾습니다.
• 다양한 직군과 논리적이고 긍정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분을 찾습니다.
• 성공적인 프로덕트를 위해 디테일을 꼼꼼히 챙기는 분을 찾습니다.
우대사항 :
• 컴퓨터공학, 수학, 통계학 등을 전공하여 SW개발에 대한 이해나 데이터 분석 관련 지식이 있으면 좋습니다.
• 개발 경험이 있거나 개발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신 분 환영합니다.
• 애자일 방식의 스프린트 진행으로 빠르고 유연한 프로젝트 리딩을 경험해보신 분이면 좋습니다.
•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 해결을 즐기시는 분이면 좋습니다.
• 데이터 분석에 익숙하고, 결과 기반한 의사결정을 경험해 보셨다면 좋습니다.
• SQL이나 GA 등을 다루실 수 있으면 좋습니다.
• A/B테스트를 통한 사용자 중심의 Product 개선 경험이 있다면 좋습니다.
• 설문조사, 인터뷰 등의 리서치를 진행하신 경험이 있다면 좋습니다.
• Slack, Jira, Confluence 등 협업툴의 사용이 능숙하시면 좋습니다.
• 회계사 또는 세무사 자격이 있거나 해당 시험의 1차 합격한 경험이 있으면 좋습니다.
2. 결론적으로 Product Manager는 무엇인가?
'Product Manger, PM은 다양한 팀들과 함께 상호작용하여 고객이 기반이 된 최선의 결과를 도출해 내기 위해 기획하고 설계하는 사람' 이라고 할 수 있다.
위의 채용공고들을 보면 업무 내용과 자격요건, 우대사항 등에 개발, 디자인, 기획 등 다양한 팀들과의 협업을 중요시하고 그러한 능력들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PM은 다양한 경험과 기술 지식등을 기반으로 일을 하는 직업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오늘 오리엔테이션과 강의 과정 중에서도 계속해서 들었던 내용과 위의 공고에서도 강조하고 있는 내용처럼 PM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고객' 이다. 고객의 니즈와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여 그것이 실제로 구축되는 결과로 이어지게끔 여러 관계자들 사이에서 계속해서 소통하고 기획하는 사람, 그것이 'Product Manager' 의 정의라고 할 수 있다.
3. 최근 강조되는 Product Manager의 업무역량과 내가 되고 싶은 PM
고객 중심의 마인드, 다양한 팀들과의 협업능력, 디자인 및 개발 지식, 니즈를 정확히 캐치하는 능력, 책임감 등 PM이 갖춰야할 업무역량은 너무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최근 강조되는 역량은 '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능력'이라 생각한다. 시간이 지날 수록 더 다양한 분야들이 데이터화 되어가고 있으며 기업의 입장에서는 그 데이터를 통해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는 것이 너무나도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PM은 그러한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어야하며, 단순히 분석하는 것을 떠나서 그 데이터들을 언제, 어떻게 활용할지를 결정하는 능력들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능력' 역시 최근들어 더 강조된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PM 본인의 시간 관리에 더해, 함께 협업하는 여러 팀원들의 능력과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불가능한 목표설정 혹은 과한 업무로 이어지지 않도록 관리하는 능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결국에는 여러 관계자들과 함께 일하는 직업이기에 PM은 전체적인 시간관리가 잘 이뤄지도록 하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나는 이번 코드스테이츠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부트캠프를 통해 실무에 기반한 프로젝트 경험들과 더불어 PM이 갖춰야할 기본적인 역량과 마인드들을 내 것으로 습득할 것이다. 종료가 될 시점에는 현직자들과 소통도 원할히 할 수 있고, 다양한 역량들을 구비해 원하는 기업에서 Product Manger로 시작할 것이며, 그 목표를 위해 13주 동안 완전히 몰입해 보려고 한다. 3년 후엔 위의 내용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팀들과 원활하게 협업하여 고객이 중심이 되는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고, 데이터를 정확하게 분석해내고 활용하며, 동료들과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함께 일하는 동료들이 누구보다도 믿을 수 있는 프로덕트 매니저'가 될 것이다.
'PMB da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JTBD (나의 삶에 제일 많은 영향을 끼치는 서비스, 쏘카) / 코드스테이츠 PBM 16기 W2D2 (0) | 2022.12.20 |
---|---|
Design Thinking 프로세스 (페르소나 중심 솔루션 제안, 오비스)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2D1 (1) | 2022.12.19 |
시장 분석을 통한 제품 전략 수립 (팔도감)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1D4 (4) | 2022.12.15 |
팔도감의 Why, What, Where, When, How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1D3 (1) | 2022.12.14 |
PD Life Cycle에 의거한 프로덕트 분석 (그린랩스, 팜모닝)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1D2 (2) | 2022.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