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MB daily

라프텔의 서비스 유형 분석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7D2

by PMB_16_J 2023. 1. 26.

W7D2


라프텔의 서비스 유형 분석

라프텔의 비전

 지난 W3D1 때 라프텔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분석했었다. 그때 설명했듯이 라프텔은 국내 최대 규모의 '애니메이션 전문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OTT서비스이다. 라프텔은 서비스 특성 상 다양한 서비스 유형을 제공하는데, 오늘은 이러한 라프텔의 서비스 유형에 대해 분석해보도록 하겠다.

 

 

Business Model (라프텔)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3D1

W3D1 애니메이션 스트리밍 서비스 'LAFTEL'의 'Business Model' '라프텔'은 국내 최대 규모의 애니메이션 전문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OTT서비스이다. 오늘은 이러한 라프텔의 'Business Model'을 분석해보고, 'B

pmjsb.tistory.com


1. 라프텔 서비스 유형의 장단점

라프텔에서 중점적으로 제공하는 유형들(PC웹, 네이티브앱)


1) PC웹

PC웹에서 지원되는 기능들

장점 

- 서비스의 주 목적인 애니메이션 영상 시청을 모바일보다 비교적 큰 화면에서 시청이 가능하고, 영상 시청 중에 바로 팝업플레이어나 와이드모드 등 PC웹에 최적화된 기능들을 사용 가능하다.

- 별도의 플레이어 설치가 필요하지 않다.

단점 

- PC나 노트북 등을 통해 이용하기에 모바일 환경보단 장소 제약이 있다.

- 캡쳐 기능이 막혀있다.


2) 네이티브앱

네이티브앱에서 지원되는 기능들, 화면 캡쳐 역시도 네이티브앱에서만 가능하다.

장점 

-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됐기에 그에 따른 기능들(두번 터치로 영상 뒤로, 앞으로 감기, 터치 잠금 버튼, 화면 캡쳐 버튼, 화면 확대 기능 등)이 추가되어 더욱 편리한 UX를 제공한다.

- 앱 설치만 되어있다면 다른 유형들에 비해 접속이 간편하다.(검색과정 불필요)

단점

- 모바일 기기에 앱을 별도로 설치해야한다.

- 확인 결과 팝업 기능을 찾을 수 없었다.


3) 웹앱

Safari에서 웹앱으로 접속 시 기본 플레이어로 재생된다.(또한 네이티브 앱과 다르게 캡쳐 시 검은화면)

장점

- 별도의 설치 없이 다양한 환경에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단점

- PC웹이나 네이티브 앱에서 서비스에 최적화하여 추가한 영상 지원 기능들을 사용이 불가하다.


4) TV앱

라프텔 고객센터의 TV앱 관련 답변

장점

- TV전용 앱을 통해 가장 큰 화면으로 애니메이션 시청이 가능하다.

단점

- 앱 설치 및 이용에 있어 사양과 멤버십 유무에 따라 제한이 있다.

- 현재 적용되는 기기의 범위를 넓혀가고 있는 중이기에 연결이나 최적화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2. 라프텔의 초기 서비스 유형과 선택의 이유

라프텔의 초기부터 성장과정, 첫 시작은 OTT가 아니었다.

- 라프텔은 2014년 베타테스트를 거치고, 2015년에 웹 서비스로 정식 서비스를 런칭, 2016년 3월에 네이티브앱(안드로이드)을 출시하는 과정을 거쳤다.

 

- 라프텔은 현재 애니메이션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장 주력이지만, 베타부터 런칭까지는 다른 비즈니스 모델을 염두해 둔 채로 진행됐다. 그건 바로 그 당시 폭발적으로 늘어나던 웹툰, 만화, 애니 관련 콘텐츠들을 정리하고 평가하고 최종적으로는 이용자들에게 추천하는 서비스 유형이었다. 이는 곧 당시에는 현재처럼 콘텐츠를 모으고, 제작하여 이용자들의 니즈에 맞춰 제공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아닌, 쏟아지는 콘텐츠들의 데이터들을 추합해 이용자에게 추천해주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베타 때 서비스를 런칭 시킬 수 있는 정도의 최소한의 데이터들을 모으고(실제로 베타 기간때 2014년 부천국제만화축제에 참여하여 팥빙수와 레몬에이드를 팔며 만화 작품 평가를 유인, 400여명으로 귀중한 1만6천여 개의 평가 데이터를 얻어냈다고 한다.), 비교적 제작에 큰 리소스가 들지 않는 웹 서비스를 통해 빠르게 런칭한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그 후 유저 수를 늘려나가며 추천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들을 모아 어느 정도 성장을 이룬 후, 모바일로 네이티브앱을 출시해 서비스의 확장을 노린 것이라 예상한다.

 

- 또한 2017년 부터 애니메이션 전문 스트리밍 OTT로 사업 모델을 넓혀 서비스의 규모를 확장시켜나가 현재는 OTT 서비스 특성에 따라 TV앱까지도 유형을 추가한 것으로 보인다.

 

 

취향에 맞는 만화를 골라준다…친절한 라프텔 - 머니S

어렸을 때 하루 종일 있으라고 해도 질리지 않은 곳이 딱 두 곳이 있었다. 바로 만화방과 오락실이다. 세월이 흘러 동네 어디에나 있던 이 두 곳도 이제는 PC와 모바일 기기에 자리를 내주고 멸종

moneys.mt.co.kr


3. 내가 PM이라면 어떤 서비스 유형으로 확장이 가능할까?

- 사실 라프텔의 경우 OTT서비스가 필요한 대부분의 기기 유형에 이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PC, 스마트폰, 테블릿은 물론 일부 스마트TV, 크롬캐스트, 셋탑박스 등 정말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에 맞게 서비스 유형 또한 주력인 PC웹이나 모바일 앱에 더해 TV앱까지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 그렇다면 현재 라프텔이 PMF(Product Market Fit)를 달성했다고 가정한다면, 유형의 확장보다는 서비스 유형에 맞는 최적화에 더 집중해야한다고 생각한다. 위의 장단점에서 언급했듯이 TV앱의 경우 제공은 물론 이용 또한 제한 사항도 많고, 최적화도 완벽하게 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PC웹의 경우 캡쳐 미지원, 모바일 네이티브앱은 팝업 모드 미지원 등 이용자들의 더 나은 UX를 위해 더 최적화해야하는 부분들이 남아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현재 각각의 지원 기기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 유형들을 더 세부적으로 파악하고, 유형마다 어떠한 식으로 제공되고 있는지를 빠르게 파악하고 비교해서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들을 개선해나가야 할 것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서비스 유형 확장의 가능성을 아예 문 닫아두면은 안된다. 현대에 와서 기술의 발전은 정말 너무나 빠르고, 예측이 불가하기에, 언제 어떠한 영상 지원 기기가 출시될지, 또 어떤 서비스 유형이 떠오를지 알 수 없다. 하지만 라프텔과 같은 스트리밍 OTT는 지원해야하는 범위가 넓어야하기에 그러한 부분을 한번 놓치게 된다면 언제든 경쟁에서 밀릴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에 서비스의 핵심인 좋은 애니메이션 콘텐츠를 찾아 제공, 제작하는 것은 물론, 언제든 이용자들의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최적화와 확장의 가능성을 항상 염두해 두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마치며,

라프텔의 초창기 광고

 오늘은 지난 번 비즈니스 모델을 다뤘던 라프텔의 다양한 서비스 유형에 대해서 분석해볼 수 있었다. 조사를 하면서 전에는 알지 못했던 라프텔의 초기 다른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고, 애니메이션 전문 스트리밍 OTT를 시작하며 특성에 맞게 서비스 유형들을 넓혀 나가는 과정 또한 알 수 있었다. 위 사진은 자료를 찾다가 발견한 라프텔이 OTT를 시작하던 시기의 광고 사진이다. 귀엽기도 하고 내용이 조금은 짠하기도 하지만, 그것보다도 현재 국내 최대 규모의 애니메이션 스트리밍 OTT 서비스로 자리잡은 라프텔의 관계자들이 저 당시의 광고 사진을 본다면 감회가 정말 남다를 거라고 생각한다. 나 또한 언젠가 PM이 되어 서비스의 런칭부터 성장까지의 가슴 뛰는 과정을 함께 할 수 있기를 바라며 글을 마무리 하겠다.


라프텔 (2023년 1월 26일) https://laftel.net/

 

https://laftel.net/

 

laftel.net

라프텔 회사소개 (2023년 1월 26일) https://laftel.oopy.io/

 

laftel.oopy.io

🔮 Laftel Vision

laftel.oopy.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