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MB daily

반려동물 데이터를 통한 가설 설정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6D3

by PMB_16_J 2023. 1. 18.

W6D3


반려동물 데이터를 통한 가설 설정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1인 가구 수의 흐름에서 반려동물은 그 소외감과 외로움을 달래줄 친구이자 가족의 역할을 대신해줄 수 있는 존재로 여겨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발표한 '2020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 의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에서 638만 가구(전체 2304만 가구)가 대표 반려동물인 개나 고양이를 기르는 것으로 발표했고, 그 수는 무려 860만 마리로 추정했다. 시간이 더 흐른 지금이라면 뉴스나 기사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반려동물 천만시대'라는 말이 더 이상 틀린 말이 아닐 것 같다. 이렇게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과 함께하는 비율이 점점 올라가는 흐름 속에서 관련 데이터들은 어떨지 확인해보고 싶어졌고, 따라서 오늘은 반려동물 관련 데이터를 통해 가설을 설정해보려 한다.  

 

 

보도자료

 

www.mafra.go.kr


1. 열람한 데이터 파일

- 자료는 KOSIS 국가통계포털(KOrean Statistical Inoformation Service)에서 열람했다.

 

1) '가구원수별/반려동물 보유 유형별 가구-시도', 통계청, 인구총조사, 2020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PH2013&conn_path=I2 

 

KOSIS

 

kosis.kr

엑셀 파일 일부


2) '거처의종류별/반려동물 보유 유형별 가구-시도', 통계청, 인구총조사, 2020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PH2011&conn_path=I2 

 

KOSIS

 

kosis.kr

엑셀 파일 일부


2. 가설 설정

1) 가설 1 : '반려동물 보유 1인 가구' 중 인구 밀도가 높은 시도(특별시, 광역시, 도)에 살수록 '개를 기르는 비율'이 낮을 것이다.

- 검증을 위해 필요한 지표 : 시도별 인구 밀도, 시도별 반려동물 보유 1인 가구 수, 시도별 개를 기르는 1인 가구 수 

 

- 설정 이유 :

반려동물을 기르는 1인 가구 중 인구 밀도가 높은 곳에 살 수록 소음 문제에 더 민감하게 반응해 개를 기르기를 포기하고 비교적 소음이 덜한 고양이나 다른 반려동물을 기르는 경우가 더 많을거라 생각했다. 이를 위해 시도별 인구 밀도 지표는 따로 찾아 데이터에 반영할 것이며, 시도별 반려동물 보유 1인 가구 중 개를 기르는 비율을 확인할 것이다.

 

- 시각화 방법 :

가로 막대 차트 이용 예정. 세로 축에 시도를 인구 밀도 순으로 내림차순으로 정렬한 후, 시도별 반려동물 보유 1인 가구 수 중 개를 기르는 비율 데이터를 입력하여 시각화 할것이다. 여러 범주의 값(시도별 반려동물 보유 1인 가구 수 중 개를 기르는 비율)을 비교하기에 막대 차트가 적절하고, 행정구역별 시도가 총 17개로 많은 편이기에 이를 가로에 몰아 넣을 수 있는 가로형이 더 시각화하기 깔끔할거라 판단해 결정했다.

필요 데이터 추출, 내일 비율 계산 및 인구 밀도 확인 후 시각화 하여 가설 검증 예정
가로 막대 차트 예시


2) 가설 2 : 전국적으로 '거처 종류 별 반려동물 보유 가구' 중 '단독주택'에서 '두 종류 이상의 반려동물을 같이 기르는 비율'이 가장 높을 것이다.

- 검증을 위해 필요한 지표 : 전국 거처 종류 별 반려동물 보유 가구 수, 전국 거처 종류 별 복합(두 종류 이상의 반려동물)으로 기르는 가구 수

 

- 설정 이유 :

거처 종류 중 '단독주택'은 한 건물에 대부분 한 세대가 살 뿐더러, 앞에 마당과 같은 시설이 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생각해 반려동물을 두 종류 이상 기르기 제일 적합한 환경이라고 판단했다. 이를 위해 전국 거처 종류 별 반려동물 보유 가구 중 복합으로 기르는 비율을 확인할 것이다.

 

- 시각화 방법 :

세로 막대 차트 이용 예정. 가로축에 거처 종류 별 유형을 넣고, 전국 거처 종류 별 반려동물 보유 가구 중 복합으로 기르는 가구 비율 데이터를 입력하여 시각화 할 것이다. 여러 값(거처 종류 별 반려동물 보유 가구 중 복합으로 기르는 비율) 중 특정 값(단독 주택 거주 반려동물 보유 가구 중 복합으로 기르는 가구 비율)의 정도를 확인하기 가장 좋다고 판단해 세로 막대 차트로 결정했다.

필요 데이터 추출, 내일 비율 계산 후 시각화 하여 가설 검증 예정

 

세로 막대 차트 예시


3) 가설 3 : '가구원 수 유형 별 반려동물 보유 가구' 중 '1인 가구 유형'이 '개나 고양이 중 한 종류만 기르는 비율'이 가장 높을 것이다.

- 검증을 위해 필요한 지표 : 가구원 수 유형 별 반려동물 보유 가구 수, 가구원 수 유형 별 개를 기르는 가구 수, 가구원 수 유형 별 고양이를 기르는 가구 수

 

- 설정 이유 : 

1인 가구의 경우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어느 정도 상호작용이 원활한 한 종류의 개나 고양이를 기르는 경우가 많을거라 생각하지만, 두 종류 이상의 반려동물을 한꺼번에 신경쓰기는 가장 어려울 환경이라 생각해 가설을 설정했다. 이를 위해 가구원 수 유형 별 반려동물 보유 가구 중 개나 고양이 중 한 종류를 단독으로 키우는 비율을 확인 할 것이다.

 

- 시각화 방법 :

세로 막대 차트 이용 예정. 가로 축에 가구원 수 유형을 넣고, 가구원 수 유형 별 반려동물 보유 가구 중 개나 고양이 중 한 종류를 기르는 비율 데이터를 입력하여 시각화 할 것이다. 가설 2와 같은 이유로 특정 값(반려동물 보유 1인 가구 중 개나 고양이를 기르는 비율)의 정도를 확인하기 가장 적합할 것이라 판단해 세로 막대 차트로 결정했다.

필요 데이터 추출, 내일 비율 계산 후 시각화 하여 검증 예정

 

 

데이터 시각화 차트 디자인에 필요한 사례와 종류 알아보기

다양한 데이터 시각화 유형 중 가장 적합한 형태를 어떻게 선택하면 좋을지 사례를 통해 알아봅니다.

modulabs.co.kr


 오늘은 이렇게 반려동물 관련 데이터를 통해 3가지 가설을 설정해볼 수 있었다. 내일 글에서 바로 관련 지표 데이터들을 추출 및 계산 후 차트로 시각화하여 가설을 검증해볼 예정이니, 오늘은 여기서 글을 마무리 하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