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7D3
카카오 로컬 주소 검색하기 오픈 API 탐색하기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란 애플리케이션을 프로그래밍하는데 필요한 인터페이스, 즉 클라이언트와 서버 두 구성요소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을 말한다. 그 중 오픈 API는 하나의 웹사이트에서 자신들이 보유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개한 API를 의미한다. 오늘은 카카오의 오픈 API, 그 중에서도 로컬(Local), 주소 검색하기 API에 대해 탐색해보록 하겠다.
1. 카카오 로컬 API가 지원하는 기능
- 로컬 이해하기 링크
1) 카카오 로컬 API
- 카카오 로컬(Local) API는 키워드로 특정 장소 정보를 조회하거나, 좌표를 주소 또는 행정구역으로 변환하는 등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정 카테고리로 장소를 검색하는 등 폭넓은 활용이 가능하며, 지번 주소와 도로명 주소 체계를 모두 지원한다는 특징이 있다. 카카오 로컬 API는 REST API 방식으로 카카오맵의 콘텐츠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2) 지원하는 기능
- 카카오 로컬 API가 지원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API 및 기능 | 설명 |
주소 검색 | 특정 주소에 해당하는 장소 정보의 좌표를 검색합니다. |
좌표-행정구역정보 변환 | 좌표 값을 행정동, 법정동으로 변환합니다. 맛집, 날씨 등 위치에 맞는 정보 제공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좌표-주소 변환 | 특정 좌표의 지번 주소 및 도로명 주소를 제공합니다. |
좌표계 변환 | 특정 체계의 좌표 값을 다른 체계의 좌표 값으로 변환합니다. 지원 좌표계: WGS84, WCONGNAMUL, CONGNAMUL, WTM, TM, KTM, UTM, BESSEL, WKTM, WUTM |
키워드 검색 | 키워드로 관련 장소 및 상세 정보를 검색합니다. 각 장소 상세 페이지로 연결되는 URL을 제공합니다. |
카테고리 검색 | 카테고리로 관련 장소 및 상세 정보 검색합니다. 각 장소 상세 페이지로 연결되는 URL을 제공합니다. |
- 이 중 '주소 검색' 기능 API의 상세구조와 기능을 분석해보려 한다.
2. 주소 검색하기 API
- 주소 검색하기 REST API 링크
1) 주소 검색하기 API의 기능과 지원 범위
- 주소 검색하기 API는 주소를 지도 위에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해 해당 주소의 좌표 정보를 제공하는 API다. 주소에 해당하는 지번 주소와 도로명 주소를 지원하는 것은 물론, 좌표, 우편번호, 빌딩명 등의 주소 조회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
2) 요청 (Request)
- 요청은 RESTful API 중 GET 명령을 통해 진행된다. 즉, CRUD 종류 중 READ(조회)의 요청을 통해 이뤄진다. 요청된 주소의 좌표 데이터를 불러오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3) 응답 (Response)
- 응답은 JSON과 XML 형식을 지원한다. 요청 시 URL의 ${FORMAT} 부분에 원하는 응답 형식을 지정할 수 있다. 별도로 포맷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 응답은 JSON 형식으로 반환된다.
3. 제품 개발 활용
1) 적용 예시
- 실제로 카카오 로컬 주소 검색하기 API가 적용된 카카오의 대표 서비스인 '카카오맵, 카카오 내비, 카카오T 택시'에 위의 예시와 같이 '전북 삼성동 100'을 검색하면 예시 결과처럼 '전북 익산시 부송동 100'이 최상위 결과로 나온다.
2) 제품 활용 방안
- 이커머스나 마켓플레이스와 같이 배송지 입력이 필요한 유형의 서비스에서 주소 검색 API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또한, 위의 카카오 서비스 예시처럼 내비게이션 앱이나 모빌리티 처럼 지도 기능이 필수이자 핵심인 서비스에서는 더욱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오늘은 카카오의 로컬, 주소 검색하기 오픈 API를 탐색해보며 활용방안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수 있었다. PM의 입장에서 직접 API의 구조를 설계하고 제작하지는 않겠지만, 우리의 제품이 어떤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지를 확실하게 보여주는 것이 제품의 API기 때문에, 관련 내용을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앞으로 남은 기간 그러한 것을 비롯해 PM에게 필요한 다양한 능력들을 더욱 함양할 수 있길 바라면서 글을 마무리하겠다.
Kakao Developers (2023년 1월 27일) https://developers.kakao.com/
'PMB da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이블링의 개선점 스토리 형식 작성 & 이해관계자 파악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8D1, W8D3 (0) | 2023.02.01 |
---|---|
W6D1 회고, Flow Chart를 통해 내부 구조 예상해보기 (직방, After)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7D4 (0) | 2023.01.30 |
라프텔의 서비스 유형 분석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7D2 (0) | 2023.01.26 |
더브이씨(THE VC)의 랜딩페이지 프로트엔드 탐색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7D1 (0) | 2023.01.25 |
반려동물 데이터 시각화 및 가설 검증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6D4 (0) | 2023.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