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6 weekly
OP.GG의 강점을 강화하기 위해선 어떠한 지표를 봐야할까?
지난 글들에서 OP.GG 서비스의 아쉬웠던 UX를 기반으로 MVP를 제작하고 그것을 통해 새로운 Growth Point 역시 찾아볼 수 있었다. 기존까지 해결해야할 문제점에서 파생된 내용을 주로 다뤄왔기에, 오늘은 OP.GG가 가진 강점을 바탕으로 그것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과 지표에 대해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또한 최종적으로는 관련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생각해보록 하겠다.
1. OP.GG의 강점
- 내가 생각하는 OP.GG가 가진 최고의 강점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채널을 다양하게 제공한다는 점이다. OP.GG는 지난 글들에서 주로 설명했던 웹사이트에 더해 스마트폰 앱 역시도 서비스 중이고, 'OP.GG for Desktop'이라 불리는 데스크탑앱 그리고 가장 최근에 출시한 디스코드 봇까지 다른 경쟁 서비스 대비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전적검색과 게임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OP.GG, 오피지지 디스코드 봇 출시 - 베타뉴스
OP.GG는 디스코드에서 운영되는 '오피지지 디스코드 봇'를 출시했다. 오피지지 디스코드 봇은 디스코드의 앱 디렉토리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자동화 프로그램으로 '리그 오브 레전
www.betanews.net
- 이렇게 여러 채널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이 강점이 될 수 있는 이유는, 채널의 다양성 만큼 다양한 이용자들의 니즈를 해결해줄 수 있다는 점이 있다. 누군가는 OP.GG를 이용하는 주 목적이 게임 시작 직전에 웹사이트에 들어가 실시간 인게임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 일 수 있고, 또 다른 유저는 스마트폰 앱을 통해 챔피언 분석 데이터 찾기 혹은 커뮤니티를 통한 정보 획득 등이 목적일 수 있다. OP.GG는 이용자들이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니즈를 보다 더 쉽게 해소할 수 있도록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채널들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이는 다른 경쟁 서비스들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지점이기도 하기에 OP.GG가 시장의 선두에 설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라고 생각한다.
- 또한 OP.GG는 단순히 채널의 갯수만 늘리고자 한 것이 아니다. 각 채널이 가진 특수성에 맞게 그 채널에서 서비스가 가진 이점을 더욱 두드러지게 할 수 있는 부분은 화면 구성이나 기능 추가 등을 통해 강화했고, 이를 통해 채널마다의 차별점을 확실하게 강조했다.
예를 들어 OP.GG 데스크탑 앱 같은 경우는 위 사진처럼 기존 서비스의 대표 기능인 게임 데이터 분석과 유저 전적 검색은 물론 데스크탑 앱 서비스를 실행하고 설정만 해둔 후 게임에 들어가면 관련 세팅을 승률과 픽률 등의 데이터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곧 게임마다 다른 정보를 찾고 따로 설정하는 것이 번거로운 이용자들에게는 최고의 선택이 됐으며, 기존 OP.GG의 기능에 더해 새로운 니즈를 가진 이용자들을 확보할 수 있는 큰 계기가 됐다.
OP.GG for Desktop
© 2012-2022 OP.GG. OP.GG isn’t endorsed by Riot Games and doesn’t reflect the views or opinions of Riot Games or anyone officially involved in producing or managing League of Legends. League of Legends and Riot Games are trademarks or registered trade
www.op.gg
당신의 자비스가 되어드립니다! 'OPGG Desktop 앱'
꼭 필요한 기능 위주로 구성... '속도'에 주안점
www.thisisgame.com
- 따라서 이렇듯 OP.GG가 서비스를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제공하고, 그 채널들을 단순 갯수만 늘린 것이 아니고 특수성에 맞게 차별점을 추가했다는 것은 여러 목적을 가진 이용자들의 다양한 니즈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원동력이 됐다는 점에서 OP.GG가 가진 최고의 강점이라고 생각한다.
2. 강점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과 지표
1) 방법
- 위에서 언급한 강점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우선, 위에서 언급한 채널의 특수성을 더욱 강화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앱의 경우는 이용자들이 이동 시에도 지속해서 서비스 화면을 볼 수 있다는 점을 통해 전 글에서 언급했던 OP.GG가 스폰서로 합류한 E스포츠 대회 영상이나 중계 등을 더욱 중점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앱 푸시 알림 같은 수단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으니 경기 시작 전에 홍보를 통해 앱 내 시청자 수를 늘리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디스코드 봇 같은 경우는 이용자들과 실시간 소통이 가능하다는 점을 통해 이벤트 홍보, 설문조사, 유저 의견 수집 등의 목적을 더 부각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이 현재도 있긴하나, 설문조사의 경우 서비스 출시 후에만 잠깐 활용되고 현재는 진행되고 있기 않기에 기능과 목적 등을 잘 다듬어 꾸준하게 진행한다면 UX개선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Join the OP.GG for Desktop Discord Server!
OP.GG for Desktop app helps you improve your gameplay ! | 75,730 members
discord.com
- 또한 이러한 특수성과 함께 채널 간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것이 강점을 부각시키는 또 다른 방법이 될 것이다. 예시로 현재 디스코드 내에서 간헐적으로만 진행되고, 볼 수 있는 유저 기반의 게임 운영 팁과 공략들을 제안했던 MVP를 활용해 웹사이트나 데스크탑 앱 내에서도 함께 볼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각 채널이 가진 차별점은 그대로 두면서도 다른 채널로 이어질 수 있는 연계 수단을 추가해 전체적인 서비스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어지게 할 수 있다.
2) 지표 및 데이터
- 이러한 방법을 통해 강점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관련 지표 및 데이터 확인을 통해 현재 서비스의 상태를 파악하고, 개선 후 그 변동폭을 확인 할 수 있어야하는데, 먼저 확인해야하는 지표로는 각 채널마다의 월간/일간 이용자 수가 있다. 다만 단순히 사이트 방문자 수, 앱 다운 수 등 만을 확인해서는 실질적으로 각 채널마다의 특수성에 따른 이용자 수 파악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웹사이트의 경우는 전적검색량, 스마트폰 앱은 이스포츠 영상 시청 횟수 및 시청자 수, 디스코드는 채팅 수 및 채팅 이용자 수, 데스크탑 앱은 자동 설정 시스템 사용 횟수 및 이용자 수 등 채널 내에서 차별점을 가진 기능들을 이용하는 데이터들을 위주로 확인해 실질적인 채널의 이용자 수를 파악할 수 있어야한다.
- 또한 채널 간 연계성 확인을 위해 다른 채널로의 전환율 역시 파악해야하는 지표일 것이다. 이를 위해 데스크탑 앱을 이용하다가 세부정보 클릭을 통해 웹사이트로 넘어간 횟수나, 디스코드 내 설문이나 홍보글 클릭을 통해 다른 채널로 전환된 이용자 수 등의 데이터들을 통해 해당 채널에서 어떠한 채널로 얼만큼 자주, 많이 전환이 됐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야한다.
3. 가설 설정 및 검증 방법
- 이러한 지표들을 개선하기 위해 앞에서 언급한 강점 강화 방법을 바탕으로 설정할 수 있는 가설 2가지와 그 검증 방법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1) 가설 : OP.GG 스마트폰 앱에서 E스포츠 영상 및 중계 기능을 제공한다면, 관련 시청자 수 확보로 인해, 스마트폰 앱 이용자가 늘어날 것이다.
검증방법 : 베타 서비스로 스마트폰 앱에서 E스포츠 관련 영상 제공 및 중계 페이지를 제공하고, 대회 기간 동안의 시청자 수와 시청 횟수를 파악해 실시 전과 후의 전체적인 앱 이용자 수를 비교한다.
이후 가설이 검증됐다면 정식 서비스로 런칭해 꾸준히 관련 데이터와 지표들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E스포츠 대회 기간 동안에만 앱 서비스 이용률이 올라가는지, E스포츠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의 전환은 이뤄지는지 등을 확인해 또 다른 가설을 세우고 서비스 개선을 위한 검증을 이어나간다. 다른 채널들 역시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각각의 특수성에 따른 강점을 더욱 강화 가능한 가설을 검증할 수 있다.
2) 가설 : OP.GG 디스코드 봇 내 유저 공략글을 다른 채널에서도 확인하고 넘어갈 수 있는 페이지를 만든다면, 각 채널 별 디스코드 봇으로의 전환율이 오를 것이고, 이에 따라 디스코드 봇 이용자 수가 늘어날 것이다.
검증방법 : 우선 이용자 설문조사를 통해 해당 기능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고 긍정적인 반응이 나올 시, 현재는 가설 검증을 위한 작성 글 갯수가 많이 부족하기에 초기에 이벤트 등을 활용해 공략글의 작성 수와 퀄리티를 높인다. 그 후 제안했던 MVP를 활용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관련 페이지를 제공하고 디스코드 내에서 작성된 것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해당 페이지에서 디스코드로 전환되는 횟수 및 이용자 수를 확인하고 전체적인 전환율을 파악한다. 최종적으로는 해당 과정 전후의 디스코드 봇 이용자 수를 비교해 가설을 검증한다.
다른 채널들 역시도 연계 요소로 활용 가능한 지점을 파악해 전환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과 가설들을 설정한다. 검증의 과정을 통해 서비스 채널 간 이어지는 흐름을 더욱 자연스럽게 만들어 전체적인 서비스 이용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OP.GG의 새로운 기능의 MVP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3 Weekly
W3 Weekly OP.GG의 새로운 MVP https://pmjsb.tistory.com/10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2 Weekly ) OP.GG 오피지지 W2 Weekly OP.GG 리그오브레전드, 오버워치, 배틀그라운드 등 요즘 가장 인기있는 게임들을 하는 유저라
pmjsb.tistory.com
오늘은 OP.GG가 가진 강점, 채널의 다양성과 특수성에 따른 차별점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제시해볼 수 있었다. 또한 개선을 위해 확인해야 하는 지표와 데이터들을 생각해보고, 관련된 가설과 그 검증방법에 대해서도 설정해보는 과정을 거쳤다. 앞으로 OP.GG에 대해서 작성해볼 수 있는 2주, 기존의 학습 내용과 남은 기간 동안 배울 내용들을 통해 더욱 양질의 분석이 이뤄지길 바라며 글을 마치겠다.
OP.GG (2023년 1월 24일) https://www.op.gg/
롤 전적 검색 OP.GG - 전적 검색, 관전, 리플레이, 챔피언 공략, 카운터, 랭킹
롤 전적, 모든 게임의 전적, 챔프 평점, KDA, 승률을 볼 수 있고 리플을 보거나 자신의 게임을 녹화를 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당신의 소환사명을 검색해보세요!
www.op.gg
'PMB week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GG의 스케일업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7 Weekly (0) | 2023.02.01 |
---|---|
OP.GG의 Growth Point/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5 Weekly (0) | 2023.01.15 |
OP.GG의 MVP 기획문서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4 Weekly (0) | 2023.01.08 |
OP.GG의 새로운 기능의 MVP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3 Weekly (0) | 2023.01.01 |
Design Thinking을 통해 본 OP.GG 오피지지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2 Weekly (5) | 2022.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