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3 Weekly
OP.GG의 새로운 MVP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2 Weekly ) OP.GG 오피지지
W2 Weekly OP.GG 리그오브레전드, 오버워치, 배틀그라운드 등 요즘 가장 인기있는 게임들을 하는 유저라면 대부분이 알고,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가 있다. 바로 국내를 넘어 세계 최대규모의 '게임데
pmjsb.tistory.com
저번 주에 OP.GG를 'Design Thinking Process'를 기반으로 분석해봤고, 최종적으로 아쉬운 UX에 대해서도 알아볼 수 있었다. 오늘은 그 UX중 최우선 'Pain Point'로 뽑은 'OP.GG 커뮤니티 목적의 불분명함' 해결을 위한 핵심 기능들을 정리해보고, 그것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기능의 'MVP'(Minimum Viable Product) 즉, 최소 기능 제품에 대해 기획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한다.
MVP기획
1. 커뮤니티 관리를 위한 핵심 기능
- 운영팁과 일반 댓글 분리 : 저번 인터뷰에서 알게된 아쉬운 UX처럼 위 사진과 같이 '운영 팁'으로 운영 되는 곳이 관련 팁은 거의 없고 대부분이 챔피언(리그오브레전드 게임 캐릭터) 관련 개인적 평가들이다. 심지어는 욕설도 섞여있는 부분(모자이크 처리함)이 많아서 운영 팁과는 전혀 무관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운영팁과 분리되는 일반 댓글 창을 만들고 그곳에 지금과 같은 평가나 자유로운 형식으로 댓글을 달 수 있게 만든 후, 운영팁 부분에서는 정말로 유저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들을 위주로 편성시켜 놓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 유저 기반의 공략글 형식 추가 : 운영 팁 옆부분에 유저가 작성하고 추천에 따라 상위 노출이 되는 공략글 창을 만들어야한다고 생각한다. 이는 단순히 댓글 창에 존재하는 가벼운 운영 정보를 보고자하는 유저들과 다르게, 더 섬세하고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얻고싶어 하는 니즈를 가진 이용자들을 위한 것이라 할 수 있고, 커뮤니티가 가진 기능을 조금 더 분리하여 정돈의 효과와 더불어 유저마다 가진 다양한 목적 달성을 더 지원해줄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특히 이 방법은 저번 주에 OP.GG의 또 다른 아쉬운 UX중 하나로 언급 됐던 '게임 내 도움이 되는 분석 정보 들에 있어서는 경쟁 서비스가 더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 하는 경우가 있음' 을 보완해줄 수 있을 것이며, 특히 기존의 데이터 분석 정보와 더불어 유저들이 직접 경험을 통해 느꼈던 팁들을 상세하게 전달 할 수 있다는 점에서 OP.GG의 커뮤니티 기능을 십분 살릴 수 있는 기능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2. 프로토타입
먼저 위에 언급한 기능들이 적용되기 전, 현재의 OP.GG 운영 팁 부분의 상태이다.
이제 핵심 기능들을 적용시킨 프로토타입을 제작해보자면,
이와 같은 상태를 제안해본다.
(여기서 '문도박사'는 리그오브레전드 캐릭터 이름 중 하나이며, 그 부분 마다 챔피언 각각의 이름이 적용될 것이다.)
이 프로토타입은
- '챔피언 운영 팁'과 '일반 댓글(챔피언 이모저모)창'을 분리하여 운영팁이 실제로 유저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게 운용될 수 있음
- 또한 따로 클릭 후 볼 수 있게 되는 '챔피언 이모저모를' 통해 기존의 유저평가, 일반 댓글의 기능을 그대로 가져갈 수 있음.
- 유저들은 '운영 팁'에 간략하게 닉네임, 작성시기, 게임 버전(패치로 인한 변동 내용 고려), 도움이 되는 운영 팁 정도를 작성할 수 있고, 따라서 이를 보러 들어온 이용자들은 별 다른 시간 소모 없이도 관련 정보를 얻어갈 수 있음
- 추가적으로 상세한 정보를 원한다면 옆에 배치한 '챔피언 Best 공략 글 TOP 4'를 통해 유저가 작성한 공략글을 볼 수 있으며, 이 유저 기반 공략글 운영 방법은 밑의 'BM강화하기' 에서 설명할 예정
- 또한 '운영 팁'과 '공략글' 모두 추천 수에 따라 상위노출이 되게 기본 설정을 해둬 이용자들이 더 유용한 정보를 선택함에 있어 도움을 줄 수 있음
- OP.GG의 주 수익원인 광고를 아예 안보이게 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이용자들이 핵심적으로 봐야하는 화면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여 불편함이 없게 함(지난 주 아쉬운 UX 중 하나였던 광고 문제 보완 가능)
과 같은 의도를 가지고 만들어졌다.
3. 솔루션 정의
이와 같은 솔루션은 OP.GG가 유저기반 데이터와 함께 성장하고 있듯이, 유저들의 자율성을 가지고 운영되는 커뮤니티의 순기능을 더욱 강조하여 이용자들의 니즈를 한층 더 충족시켜줄 수 있는 것으로, 한 문장으로 '유저기반 게임 공략 커뮤니티 서비스'라 정의할 수 있다.
4. 사용자 시나리오 설정
- 이용자들은 제안된 솔루션을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용하게 될 것이다.
1) 게임을 실행하고 본격적으로 플레이 하기 전에 챔피언에 궁금한 점이 생겼고, 이에 OP.GG에 접속한다.
2) 챔피언 분석을 누른다.
3) 챔피언의 상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 챔피언 초상화를 누르고 상세페이지로 들어간다.
4) 스크롤을 내려 더 상세한 운영 팁과 유저 기반의 공략을 본다.
5) 원했던 정보와 도움이 될 팁들을 찾아 문제를 해결하고 게임을 하러 간다.
BM강화하기
1. OP.GG의 비즈니스 모델 도식화
- OP.GG는 위와 같이 유저들이 플레이한 전적을 게임사로 부터 제공받고, 이를 다시 재가공하여 유저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유저들은 OP.GG에 계속해서 접속하게 되고, OP.GG는 그 대량의 트래픽을 이용한 광고 수익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2. 비즈니스 모델 강화
- OP.GG는 위에서 제안한 MVP를 통해, 이용자에게서 유저 기반의 운영 팁, 공략글을 제공받을 수 있다.
- 이는 이용자들의 게임 내 정보에 대한 니즈를 더욱 충족시켜줄 수 있는 지점이기에 더욱 더 많은 MAU, DAU를 획득 가능할 것이고, 광고 수익 역시 올라갈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양질의 내용을 위해 OP.GG는 이용자들에게 월별, 혹은 주별 등 기간에 따라 BEST 운영팁, 공략글들을 선정하여, 게임 내 재화나 다양한 상품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할 수 있고, 이용자들 역시 이를 위해 더 좋은 내용의 정보들을 OP.GG 내 커뮤니티에 작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OP.GG의 'Business Model'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솔루션(MVP) 검증하기
1. 솔루션 검증방법
1) 설문조사
- 먼저 솔루션 검증을 위한 방법으로 설문조사 진행이 요구된다. 설문조사는 'OP.GG가 서비스하는 대표 게임 리그오브레전드를 플레이 하면서 OP.GG 서비스를 이용해 본 적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진행될 것이며, 인원은 1000명을 목표로 진행한다.
- 인원 모집은 현재도 조건에 해당하는 다수의 유저들이 이용하는 OP.GG 사이트인 만큼 그 내에서 모집을 하고, 추첨을 통한 게임 내 재화 제공 이벤트를 통해 인원 모집을 한다.
- 주 질문은 'OP.GG 커뮤니티 내 불편함'과 '개선점에 관한 긍정적/부정적 평가'가 될 것이다.
2) 자체 테스트 기간
- 이후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하여 테스트 기간을 설정하고, MVP대로 배치하여 운영해본다.
- 운영 팁과 공략글의 경우 위의 내용대로 추천 수 및 내용에 따라 순위 별 상품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열어 참여자를 모집하고, 이용자들에게 실제로 얼마나 많은 도움이 될지 아래의 지표들을 통해 판단한다.
2. 평가지표 설정
- 솔루션의 검증을 위한 평가지표로는
1) MAU와 DAU를 통해 실제 사이트 내 접속이 늘었는지를 확인한다.
2) 공략 글 페이지 뷰와 추천 수, 댓글을 통해 이용자들의 반응이 어떠한지 살펴본다.
3) 운영 팁, 공략글의 리젠 수와 작성 참여인원 수를 통해 서비스가 장기화 가능한지를 검증한다.
같은 지표들이 될 수 있다.
마치며,
오늘은 OP.GG의 아쉬운 UX 개선을 목적으로 최소기능만을 가진 'MVP'를 제안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위와 같은 솔루션을 통해 대표적으로는 커뮤니티 목적의 정교화 달성, 그리고 추가적으로는 유저 기반 양질의 정보 제공, 광고의 재배치를 해결해보려고 제안을 해보았지만, 이는 곧 이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기에 그 참여를 유도시킬 수 있는 부분들이 더 요구된다고 생각한다.
결국 OP.GG를 관통하는 핵심은 '공생'이라고 생각한다. 게임이 흥행하고, 유저들이 더욱 게임에 몰입할 수록 OP.GG는 더 빛이 난다. 그리고 그 몰입을 도와주는 서비스가 바로 'OP.GG'이다. 공생이라는 건 어떻게 보면 양날의 검이 될 수도 있다. 어느 한 쪽이 무너지면 그 공생 관계의 모두가 반드시 타격을 입는 구조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OP.GG는 그 공생을 통해 계속해서 성장했고, 비슷한 서비스 경쟁자들을 제치고 더욱 큰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앞으로 남은 6주 또한 OP.GG의 더욱 많은 부분을 분석해보고, 의미있는 무언가를 생각해보는 시간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면서 글을 마무리하겠다.
OP.GG (2023년 1월 1일) https://www.op.gg/
롤 전적 검색 OP.GG - 전적 검색, 관전, 리플레이, 챔피언 공략, 카운터, 랭킹
롤 전적, 모든 게임의 전적, 챔프 평점, KDA, 승률을 볼 수 있고 리플을 보거나 자신의 게임을 녹화를 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당신의 소환사명을 검색해보세요!
www.op.gg
'PMB week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GG의 스케일업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7 Weekly (0) | 2023.02.01 |
---|---|
OP.GG의 강점에 대한 지표와 가설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6 Weekly (0) | 2023.01.24 |
OP.GG의 Growth Point/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5 Weekly (0) | 2023.01.15 |
OP.GG의 MVP 기획문서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4 Weekly (0) | 2023.01.08 |
Design Thinking을 통해 본 OP.GG 오피지지 / 코드스테이츠 PMB 16기 W2 Weekly (5) | 2022.12.25 |